기원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에 속한 상록교목인 용안(Euphoria longan)의 과실의 헛씨 껍질(=과육)로, 여름과 겨울에 과실이 성숙할 때 채취하여 과피를 제거하고 헛씨 껍질만 취하여 건조한 것
성상
세로로 파열된 불규칙한 박편으로서 보통 여러 개가 끈끈하게 붙어있다. 바깥면은 진한 적갈색~흑갈색으로 반투명하다. 동그란 모양이며 길이 2~4cm, 너비 1~2cm, 두께 2~4mm이다.
성분
amino acid: 2-amino-4-methyl, hex-5-ynoic acid,
2-amino-1-hydroxymethyhex-5-ynoic acid
기타 비타민 A, B1, glucose, sucrose, 지방, 지방산, 주석산, 단백질, 핵산류
성미(性味)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달다
효능
▣한의학적
1. 補益心脾(보익심비)
2. 養血安神(양혈안신)
3. 治氣血不足(치기혈부족)
4. 心悸怔忡(심계정충)
5. 健忘失眠(건망실면)
6. 血虛萎黃(혈허위황)
□해설
용안육은 성미가 달고 따뜻하며 윤(潤)이 있어 심장(心)과 비장(脾)의 경락으로 들어가 보해주며 영혈(營血)을 자양(滋養)함으로써 정신을 안정시켜줌으로써 심장(心)과 비장(脾)의 혈(血) 부족증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대추와 같이 끓여 복용하면 신경성 심계항진증을 치료한다.
▣약리학적
1. 진정작용
adenosine에는 불안 완화 작용이 있고, 진통작용도 있다(in vivo).
하지만 또 다른 성분인 adenine과 uridine,
5- methyluridine에는 이러한 작용이 없다.
2. 건위, 자양 작용
3. 기타
-용안육의 씨에서 분리된 비정형 아미노산인 2-amino-4-methlyhex-5-ynoic acid와 hypoglycin A에는 돌연변이 억제 작용이 있다(Ames test).
-phenolic성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부작용 및 주의할 점
우리나라에서는 재배되지 않지만 중국에서는 과일로 먹을 만큼 무독하고 문제가 없는 용안육이다.
하지만 사상의학에서는 태음인 약으로 분류하고 있고, 다량 섭취할 시 주의할 점이 있다.
※ 용안육의 성미가 따뜻하여 몸에 열이 많거나 폐 또는 위장에 열이 있는 사람은 장기 복용을 하면 좋지 않다.
※ 끈끈한 성질로 인하여 소화기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습이 많은 체질이거나, 평소 소화력이 약한 사람이 복용할 시 소화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용안육과의 추억🎆
나는 호남 중의학대학에 어학연수를 갔을 때 처음으로 건조된 용안육이 아닌 생 용안육을 접했다.
그와 처음 만난 장소는 중국 동네 시장이었다. 우리나라의 시장에서 포도를 파는 것처럼 용안육도 가지에 주렁주렁 매달린 채 팔리고 있었다. 생김새는 이름처럼 동글동글한 것이 용의 눈 같기도 했다. 갈색의 얇은 껍질을 벗기면 리치와 비슷한 생김새의 과육이 나왔다.
껍질을 까면서부터 수분이 터지면서 단내가 코끝을 자극했고, 입에 넣으니 달콤한 과즙이 나오면서 화장품 향 같은 향기도 났다. 과육 안에서는 갈색의 큰 씨앗이 나왔다. 우리나라 과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탄탄하고 몰랑한 식감이었다.
용안육처럼 맛있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과일을 언제나 먹을 수 있는 중국이 부러웠던 날이었다.
지금 글을 적으면서도 그날의 달콤했던 추억이 생생히 떠오른다.
'허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마토(토망고, 스테비아 토마토)란? (0) | 2020.02.25 |
---|---|
시나몬 계피 차이 '실론 시나몬' (0) | 2020.02.23 |
<작약차 효능> 임신차 (0) | 2020.02.21 |
자소엽의 성미와 효능/감별법 (0) | 2020.02.19 |
생강의 효능, 포제법 (0) | 2020.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