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 이야기

생강의 효능, 포제법

Sonaji 2020. 2. 17. 19:53

 

 

생강의 효능(Zingiber officinale)

 

<한의학적>

1. 發汗解表(발한해표)

 -풍한의 사기를 흩어주어 해표 하는데 효능이 있지만,

  약하여 가벼운 감기 증상에 사용한다.

2. 溫中止嘔(온중지구)

 -위의 경락에 들어가서 중초를 따뜻하게 해 줌으로써

  구역질을 막아준다.

3. 化痰止咳 (화담지해)

 -가래를 없애주어 기침을 멎게 한다.

 

<약리학적>

1. 손상된 관절 및 연골 조직을 회복

-단백질 분해효소 함유하여 염증을 감소시켜

 관절 및 연골 조직을 회복시킨다.

2. 생리통 및 생리 전 증후군

-골반의 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여성의 생리통을 완화시킨다.

3. 임신 촉진 강장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의 불임에도 효과적이다.

4. 메스꺼움, 차멀미, 뱃멀미 

-화학요법에 사용되는 구토 방지약 같은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그 약이 가진 부작용이 없다.

5. 식중독 치료

-생강의 살균 성분은 위장 감염 치료에 쓰여 식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전 세계 요리에 생강이 자주 쓰이는 이유가 물론 맛도 좋지만 이런 효능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강 뿌리

 

 

 

주요 성분

zingiberol, zingiberene, phellandrene, camphene, citral, linalool, methylheptenone, nonyl aldehyde, d-borneol,

또 신미 성분인 gingerol이 있고 이것은 분해되어 유상의 정유성분인 shogaol과 결정성의 신미 성분인 zingerone, zingiberone의 혼합물로 변한다.

 

 

생강 꽃

 

 

 

 

포제법

 

1. 건강(乾薑)

<방법>

원재료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물에 10~20시간 담가 70% 정도 수분이 스며들었을 때,

1cm로 썰어 햇볕에 건조한다.

<효능>

-성질이 따뜻하고 건조함에 치우치며,

 중초를 따뜻하게 하여 한기(寒氣)를 흩어지게 한다.

-중초에 한사(寒邪)가 편승하면서 습(濕)을 겸한 증후 및 한음(寒飮)으로 인해 폐가 상하여 오는 기침에 쓴다.

-약효가 신속하며 작용이 비교적 강하여 양기(陽氣)를

 다시 불러일으켜 맥(脈)이 돌아오게 한다.

 

2. 건강(포, 炮)

<방법>

깨끗한 모래를 볶는 용기에 넣고 강한 불로 가열하여 어느 정도 모래가 가열되면, 건강 편 혹은 건강덩어리를

넣고 부지런히 뒤집으면서 껍질이 부풀어 오르고 표면이 진한 갈색이 될 때까지 초한 다음 꺼내어 모래는 체로 쳐서 제거하고 서늘한 곳에 건조한다.

<효능>

-맛은 쓰고 맵다.

-성질은 따뜻하지만 맵고 건조한 성미는 건강보다는

 약하며, 속을 따뜻하게 하는 작용도 건강보다 신속하고 강하진 않지만 작용이 완화하여 지속성을 가지므로 속을

 따뜻하게 하여 통증을 멈추며, 설사를 멈추고, 경맥(經脈)을 따뜻하게 한다.

 

3. 건강(탄, 炭)

<방법>

건강 편 또는 건강 덩어리를 볶는 용기에 넣고 센 불에 볶아 표면은 초흑색, 내부는 갈색으로 약의 성질이 남아 있을 정도로 볶고 물을 뿌려 불꽃을 끄고 그늘에 널어 열을 식혀 햇볕에 건조한다.

<효능>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쓰고 떫다.

-매운맛은 없어지고, 쓰고 떫어서 건강(포, 炮) 보다 지혈 작용이 강하며 경맥(經脈)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은 건강(포, 炮)보다 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