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 이야기

우엉차 효능/우엉차 부작용

Sonaji 2020. 3. 10. 11:48

우엉 관련해서 검색을 하다가 연관 검색에

비아그라💊가 있길래 호기심에 조사해보았습니다.

오늘은 우엉이라는 허브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엉은 다양한 환경과 토양에서 잘 자라서 생명력이 아주 강한 야생식물이다.

서양 전통 의학 및 중국 전통 의학에서 우엉은 가장 안전하고, 맛 좋으며, 효과적인 해독제로 쓰인다.

또한 몸을 깨끗하게 청소해주는 허브로 유명하다.

 

 

재배환경

우엉은 대륙 전체에 퍼져 번성하는 번식력과 내성이 강한 식물이다.

영하의 온도에서도 잘 자라며 따뜻한 곳에서도 잘 자라 가뭄을 잘 견딘다.

둥글고 꺼끌꺼끌한 꼬투리는 동물, 새, 사람 등 무엇이든지 달라붙을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실제로 이러한 디자인을 바탕으로 벨크로(=찍찍이)가 발명되었다. 

*꼬투리:콩과 식물의 열매를 싸고 있는 껍질

사용부위

씨와 잎도 습포제연고로 만들어 외용으로 쓰지만 주로 뿌리를 이용한다.

 

 

 

 

 

 

 

 

주요성분

당질 15% 중 대부분의 당분은 이눌린, 펜토산 등 

칼슘, 마그네슘, 인, 철분, 크롬, 비타민 B1, 세스퀴테르펜, 고미 배당체, 플라보노이드, 휘발성 오일

사포닌 성분(saponin) 리그닌 성분(Lignan:arctiin, arctigenin)이 껍질에 있다

 

*식물 안에서는 배당체인 arctiin 생체 안에서는 비당체인 arctigenin

 

 

 

 

우엉차 효능 10가지

 

1. 이뇨작용(다이어트)

arctiin이눌린 성분에는 수분을 흡수하여 이뇨 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다.

오줌이 잘 배출되지 않아 부종이 생기거나,

요도에 세균이 번식하여 방광염이나 요도염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우엉차를 달여 마시면 좋다.

또한 몸에 수분이 많아 비만인 사람들의 다이어에 도움을 준다.

 

2. 성 기능 항상, 강장제, 생리불순 치료

arctiin무산소성 장내 세균에 의하여 arctigenin으로 전환되며,

이렇게 전환된 화합물이estrogen유사 작용 또는 anti-estrogen유사 작용 나타낸다.

또한 우엉차는 항에스트로겐 작용으로 생리불순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생쥐실험
비아그라> 우엉추출물> 증류수 순으로 
비아그라만은 못하지만 어느 정도 효과는 있다고 한다.

실제로 중국에는 우엉을 자연 강장제로 쓴다고 합니다.😲

* anti-estrogen(항에스트로겐):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작용을 방지하거나 완화시키는 약물.

*estrogen(에스트로겐): 암컷의 생식샘 부속기관을 발육시키고 그 기능을 촉진하는 성호르몬.

포유류에서는 주로 난소에서 분비되며 태반, 부신피질, 정소에서도 소량 분비되어 발정상태를 일으킨다. 

 

 

 

 

 

 

 

 

arctigenin에는 항암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뇌세포 보호작용 등이 있다.

 

3. 항암작용(항종양)

arctigenin colorectal adenoma cell(결장 직장 선종 세포)과 carcinoma cell(암종 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한다.

arctigenin당대사과정을 억제하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한다.

우엉 뿌리는 미국 원주민들의 아주 유명한 항암 치료제 에시액(Essiac)의 성분

 

4. 항바이러스 작용

HIV-1의 복제과정을 억제한다.

즉 proviral DNA가 숙주의 DNA genome에 끼어드는데 필요한 효소인 HIV-1 integrase의 활성을 억제한다.

 

5. 뇌세포 보호작용

 arctigenin은 kainate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glutamate로 유도한 세포독성으로부터 뇌세포를 보호한다.

 

6. 간세포 보호작용

간에 특별히 좋은 치료제로서, 몸을 식히는 기능이 있어 열 받거나 흥분했을 때 도움이 된다.

우엉-민들레 팅쳐로 간을 보양하고 튼튼하게 하며 열 증상을 줄일 수 있다.

*열 증상: 벌겋게 상기된 얼굴, 급한 성미, 뜨겁게 달아오르는 피부

 

7. 노화방지

우엉에 들어있는 사포닌(saponin)이라는 성분은 항산화 작용을 통해 노화를 방지한다.

더불어 사포닌기침을 멎게 해주는 효능을 가진다.

*항산화 작용: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세포 손상을 막아주고 세포 재생을 촉진시킨다.

 

 

 

 

 

 

 

 

8. 항염증 작용(피부질환)

우엉은 피부 질환에 가장 좋은 허브들 중 하나로

탄닌 성분(tannin)이 풍부하여 소염작용으로 여드름이나 아토피, 습진 등의 피부질환에 바르고 먹을 수 있다.

특히!

사춘기 호르몬 변화나 너무 기름진 식사(지나치게 단 음식들과 인스턴트식품) 때문에 생기는

피부 문제, 여드름, 종기에 도움이 된다.

사용방법🛁
우엉차를 마셔도 좋지만, 건조하고 가려우며 자극이 생긴 피부에 세안제로 좋다.
또한 뿌리를 달여 천에 적셔 직접 피부에 바르거나, 차를 목욕물로 사용한다.

*탄닌(tannin)

-수렴작용: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고 지혈한다. 설사나 이질을 치료하고 위장의 점막을 보호

-소염작용:

독충에 물려 열이 나고 빨갛게 부었을 때 습포 하면 열이 내리고 붓기가 가라앉는다.

-해독작용:

유독물질인 니코틴과 유해성 중금속 침전물 등을 배출시킨다.

-살균작용:

균체에 침투해 단백질과 결합, 응고시켜 병원균을 죽게 한다.

 

 

 

9. 면역체계 향상

우엉 뿌리는 면역체계의 중요한 일부인 림프계에 도움이 된다.

몸 전체의 림프절이 붓는 증상인 림프 부진이나 충혈 및 울혈에 효과적이다.

 

10. 변비 예방

우엉은 무엇보다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변비 예방에 탁월하다.

또한 이눌린 성분 장내 유익균을 활성화해주며,

리그닌(Lignin) 성분은 불용성 식이섬유로 장내 발암물질을 흡착해 체외로 배출시켜 전반적인 장 건강에 좋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알레르기, 출혈, 이뇨작용 등등 많은 주의사항이 있지만 중요 핵심만적어본다.

우엉은 본래 성질이 차기 때문에 몸에 열이 많아서 생기는 변비나 비만에 쓰이며,

열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질환에 쓰인다.

따라서,

평소에 수족냉증이 있거나 몸이 찬 사람에게는 설사나 복통 등 소화기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 있으니 복용을 삼가한다.

특히 여성의 자궁이나 장관 운동을 억제시키거나 마비시키는 효능이 있으니 임산부는 복용을 금지한다.